스테인리스강은 화학성분과 금속조직에 따라 대별하고 있으며, 화학성분으로는 Fe-Cr계, Fe-Cr-Ni계로 분류되고, 금속조직상으로는 Austenite계, Ferrite계, Martensite계, Duplex계 및 석출경화계로 분류됨.
스테인리스강은 철(Fe)을 소지금속(Base)으로 하여 Cr, Ni을 주원료로 함유하고 있으나, Cr, Ni 이외에 원소를 첨가함으로써 여러 가지 특성을 갖는 스테인리스강을 제조할 수 있었음.
최근 정련기술의 급속한 발전으로 극저탄소 Ferrite강, 질소 첨가강 등 신강종이 개발 되었으며, 현재까지 규격 상으로는 총 63종(Austenite계 31, Ferrite계 13, Martensite계 14, Duplex계 2, 석출경화계 3)이 양산되고 있음. 일본의 경우 각 회사별로 고유강종을 개발 약 2,000여종이 등록되어 있음. 스테인리스강의 발달과정은 그림에서와 같이 Cr주성분의 Martensite, Ferrite계에서 Cr-Ni성분의 Austenite계로 이어지며 기본조성을 바탕으로 하여 기타원소들을 첨가, 변화시켜 각종 용도에 맞는 강종이 개발되어 왔음.